흔하지만, 흔하지 않은 오행구족
오행구족(五行具足)은 사주팔자에서 모든 오행(木·火·土·金·水)이 갖춰져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주에서 오행이 모두 갖춰지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없기 때문에 안정적인 삶을 살아갈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평범한 삶을 살아갈 수도 있고 경제적으로 부유한 삶을 살아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오행구족의 사주를 타고났다면 다른 사람보다 좋은 사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주팔자를 구성하는 힘인 오행은 세상을 이루는 다섯 가지 기본적인 요소로 오행이 모두 있으면 조화를 이루기가 쉽습니다. 사주의 조화가 좋다는 것은 구성이 좋다는 것이고 좋은 구성은 강력한 힘을 만들어냅니다. 이 힘은 재능을 더욱 키워주고 큰 위기가 와도 주변 사람의 도움을 받아 안정적으로 지나갈 수 있게 해줍니다.
오행구족의 특징
- 삶의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인 작용
- 좋은 기운이 흐르고 어려움을 상대적으로 쉽게 극복
- 다양한 분야에서 재능과 능력 발휘
- 새로운 것을 배우고 적응하는데 능숙함
- 변화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
- 위기에 몰려도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
- 물질적, 정신적 풍요로움을 누릴 가능성 높음
- 건강, 인간관계, 사회활동 등 모든 방면에서 만족스러운 삶
나는 오행이 몇 개 부족한데 불행할까? 하는 사람도 있는데 오행 중 한두 개쯤 부족하다고 해도 살아가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오히려 특정 오행이 많아 강력한 힘이 작용해 부유한 삶을 살아갈 수도 있습니다.
사주오행을 해석하는 방법은?
사주팔자를 볼 때 오행을 해석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부족한 오행이 무엇인지를 찾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힘이 지나치게 강한 특정 오행 때문에 힘을 못 쓰는 오행을 찾는 것입니다.
오행 중에서 부족한 것이 있다고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부족한 오행이 사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거나, 반드시 필요한 오행일 때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먼저, 특정 오행이 부족하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건강
- 사회적 지위
- 학업
- 부모와의 인연
- 인맥, 대인관계
- 배우자, 자식
- 직업, 재능
- 재물
특히 요즘 같은 시대에 재성(財星) 또는 관성(官星)이 없다면 큰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재물과 직업과 거리가 멀다면 살아가는데 문제가 되는 것이지요.
이러한 오행별 특징은 조견표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오행 조견표라고 해서 오행이 상징하는 방위와 오체, 감각, 감정, 맛, 색상, 계절 등을 구분해 놓은 것입니다.
오행 조견표
구분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의미 | 나무 | 불 | 흙 | 쇠 | 물 |
방위 | 봄 | 여름 | 환절기 | 가을 | 겨울 |
계절 | 동 | 남 | 중앙 | 서 | 북 |
색깔 | 청색 | 적색 | 황색 | 백색 | 흑색 |
숫자 | 3, 8 | 2, 7 | 5, 10 | 4, 9 | 1, 6 |
맛 | 신맛 | 쓴맛 | 단맛 | 매운맛 | 짠맛 |
오장 | 간 | 심장 | 비장 | 폐 | 신장 |
육부 | 담낭 | 소장 | 위장 | 대장 | 방광 |
오체 | 신경 | 순환 | 근육 | 골격 | 혈액 |
천간 | 甲, 乙 | 丙, 丁 | 戊, 己 | 庚, 辛 | 壬, 癸 |
지지 | 寅, 卯 | 巳, 午 | 辰, 戌, 丑, 未 | 申, 酉 | 亥, 子 |
오상 | 인(仁) | 예(禮) | 신(信) | 의(義) | 지(智) |
특정 오행이 부족하면 나타날 수 있는 건강상의 특징
· 목(木) : 간, 담낭. 뇌, 신경 등
· 화(火) : 심장, 소장, 안구, 혈압, 정신 등
· 토(土) : 비장, 위장, 허리, 암, 당뇨, 근육 등
· 금(金) : 폐, 대장, 피부질환, 기관지, 맹장, 생리통 등
· 수(水) : 신장, 생식기, 귀 등
오행조견표는 다양한 요소로 구분된 오행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므로 참고해서 보면 됩니다.
오행을 살펴볼 때는 앞서 이야기한 부족한 오행을 살피는 것도 있지만, 제역할을 못하는 오행도 봐야 합니다. 아쉽게 깨진 오행과 묶인 오행을 봐야 하는데 이는 오행구족인 경우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유심히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 하나 더, 오행이 부족한 경우에는 특정 기운을 가진 숫자와 물건으로 보완할 수 있으니 역술가의 조언을 구해서 주변에 가까이 두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오행을 해석할 때는 의미만을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도 봐야 합니다. 생극제화(生剋制化)로 서로 돕고 성장시키거나, 억누르는 관계, 과한 것을 조절하고 균형을 유지하는 관계, 변화하고 순화하는 관계 등을 통해서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명리학·命理學 > 사주·四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에서 이성운(異性運)이란? (0) | 2024.03.07 |
---|---|
사주팔자 만세력 시간대에 대한 이해 (4) | 2024.02.28 |